본문 바로가기
생활관련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 발간

by 뽀키 2023. 6. 4.
반응형

KB금융그룹은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이 보고서는 대한민국 반려동물 생애 전 과정에서 필요한 조건들을 짚어보았습니다. 최근들어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생각하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반려동물 양육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관련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려동물 보고서 배너
반려동물 보고서

 

1. 반려가구 증가, 입양 경로 변화

2022년 말 기준, 대한민국 반려가구는 약 552만 가구로 2020년 말 대비 약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려동물을 처음 맞이하는 경로는 '친구나 지인을 통해서'가 가장 많았으나, 20~30대에서는 '유기동물 입양 문화'가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반려동물을 입양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수많은 동물보호센터에서 유기동물을 찾아 입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반려가구, 반려동물 양육에서 가장 큰 관심사는 건강 관리

'반려가구'의 가장 큰 관심사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55.0%)였으며, 반려동물 식사나 거주환경 등 '반려동물 양육'(38.8%)과 '반려동물 외출'(27.0%)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관리'와 관련해서는 '건강검진 등 건강관리 방법'(68.6%)과 '질병 진단 후 케어 방법'(55.7%)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습니다. 이는 가족으로서 반려동물을 대하는 마음이 깊어짐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을 유지하고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3.반려동물의 생애비용, 준비 부족

반려동물의 생애비용 지출은 늘어나는 추세이나 이에 대한 준비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반려동물 양육을 위해 별도로 자금을 마련하고 있는 경우는 전체 '반려가구'의 21.5%에 불과했습니다. 또한 '반려가구'의 89%가 반려동물보험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실제로 가입한 '반려가구'는 11.9% 수준이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반려동물을 키우는데 필요한 경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반려동물 사진
반려동물

 

4. 반려동물 장례, 화장 후 장묘시설 이용하는 케이스 증가

과거에는 키우던 반려동물이 죽음을 맞이하면 '직접 땅에 매장'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이번 조사 결과 '반려가구'의 상당수(64.5%)는 화장 후 수목장, 메모리얼스톤, 봉안당 안치 등 화장 후 장묘시설 이용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여기며, 그들의 존재가 인간과 함께한 시간을 추억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5. 반려동물의 전문적인 건강관리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

반려동물을 대우하는 방식이 바뀌어가면서, 반려동물의 건강과 행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려동물의 전문적인 건강관리 지원을 위해 제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를 위해 '원격의료상담 서비스', '원격진단 서비스'를 통해 반려동물의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반려동물 산업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반려동물을 키우는 분들은 반려동물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노력하실 것으로 예상됩니다.보다 자세한 내용은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